본문 바로가기
방구석에서 키우는 경제상식/국내 경제소식

내 집 있는 사람 얼마나 될까? 대한민국 30, 40대의 주택 소유 비율

by 강또띠 2024. 2. 18.
반응형

최근 영혼을 끌어모아 집을 사는 영끌 내 집마련 붐이 한창이었다. 나도 한때는 "5천만 원으로 영끌 한번 해봐?"라는 생각을 했었지만 결혼도 안 했고, 심장도 쫄려서 추진하지 못했다.

그래서 그런지 문득 "내 나이대에 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라는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오늘은 현재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3040의 주택보유현황에 대해 조사해 보았다.

대한민국 주택보유 비율

만 35세의 기혼자 부부 주택보유 현황

 

현재 대한민국의 만 35세를 기준으로 한 주택 보유자의 비율이다.

먼저 만 35세 기혼자 부부의 주택소유 비율을 보면 열명중 세 명이 결혼을 하면서 내 집마련을 한 것으로 확인된다. 10명 중 7명은 내 집이 아닌 전세나 월세로 시작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수치는 영끌을 해서 들어간 것도 당연히 포함된 수치이다. 무리하지 않고 무주택으로 결혼하는 사람이 훨씬 많다는 것은 당연한 수치이다.

 

70%에 해당하는 결혼 남녀는 살면서 집을 장만하는 선택을 했다는 것, 나에게도 조금은 위안이 됐다고 해야 할까?^^


만 35세 미혼자 vs 기혼자 주택보유 현황

 

이번엔 같은 만 35세 이지만 결혼하지 않은 미혼인 사람들의 주택 소유도 확인해 봤다.

이 조사자료를 보면 집이 없이 지내다가 결혼을 하면서 집을 장만하는 사람이 15% 정도 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위아래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만 35세의 결혼한 남녀의 주택 소유자는 결혼 연차가 오래된 사람들도 포함되어 있으니 '결혼할 때 집을 장만해서 들어가는 사람'의 수가 궁금했다면? 그 수는 15% 정도라고 이해하면 된다.

 

나만 빼고 주변사람들이 모두 자기 집에 살고 있는 것 같지만, 사실상 5명 중 4명은 자기 집이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 전세나 월세로 시작하는 게 보통으로 보인다. 꼭 집이 있거나 집을 살 수 있는 경제력이 있어야 결혼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 우리도 용기와 희망을 갖자.


만 40세의 기혼자 부부 주택보유 현황

 

이제는 위의 35세의 사람들이 40세까지 5년 동안돈을 벌었다고 생각해 보자.

35세에 결혼한 남녀가 5년 동안 돈을 모아서 집을 산 사람이 11%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만 40세가 된 부부도 내 집이 없는 경우가 더 많은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내 집을 갖고 있는 사람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이 훨씬 많아 보인다. 그리고 50세가 되어도 그 숫자는 크게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만 40세 미혼자 vs 기혼자 주택보유 현황

 

결혼과는 상관없이 평균 내 집을 가지고 있는 만 40세의 대한민국 사람들을 살펴보면,

내 집이 없는 경우가 78%이다. 열 명 중 여덟 명은 만 40세가 되어도 집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혼자와 기혼자를 통틀어봐도 1/3의 사람들은 집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다 보니 집이 없는 것이 어찌 보면 너무도 당연한 상황이 아닐까? SNS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높은 소득으로 눈길을 끌고 있지만, 실상을 과장된 콘텐츠들이 대부분이다.

 

[종합] 연령별 주택소유 비율

 

마지막으로, "나이가 더 들면 모두들 자기 집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할 수는 있다. 우리나라 60대까지의 주택보유 현황을 살펴보면,

우리나라 만 40~60세의 주택보유 평균은 44% 정도이다. 60세가 되어서도 절반이상은 내 집이 없는 것이다. 물론, 형편이 되지 않아서 내집 마련을 못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그럴 필요를 못 느낀다거나 또 다른 이유로 집을 사지 않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요즘 많은 청년들이 '집을 마련할 수 있어야 or 집이 있어야 결혼할 수 있다'라고 생각하지만, 이 내용들을 잘 살펴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생각이 든다.

 

인터넷 발달과 SNS의 대중화로 순수한 눈을 가진 많은 청년들의 눈높이가 너무 높아지고 있고, 현실과 허황된 목표 그 사이에서 자기 수준에 맞는 중심을 잘 잡아야 의욕도 생기고, 자존감도 높일 수 있지 않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