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우 국민의힘 비서관 공천프로필, 고향 학력등 공천 정보
출처 : 나무위키 / YTN뉴스
얼마 전 해운대 갑 출마선언을 했던 윤석열 대통령 측근 검사출신 주진우 전 대통령실 법률 비서관이 2월 18일 해운대 갑에 마침내 단수공천되었다. 다른 인물인 주진우기자(진보성향 시사평론가)와는 동명이인이다.
"국민의 삶 보단 정치인의 사익을 중시하는 정치문화를 개혁하고, 오롯이 공공의 이익만을 보고 일하겠다"며 그 뜻을 밝혔다.
주진우 비서관은 우리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윤석열 정부의 초대 대통령 비서실의 법률비서관에 역임한 인물이다.
출생연월
경남 진주시 / 1975.5.25 (48세)
학력
광안중학교 졸업, 대연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 [법학(1) 94/ 학사학위)
현직
국민의힘 해운대 갑 국회의원 후보
소속 정당
국민의힘
자세한 약력 순서
제 41회 사법시험에 합격
제 31기 사법연수원 수료
대구 지방검찰청 검사 임용
서울 중앙지방 검찰청 검사로 근무
법무부 법무과 검사로 근무
대검찰청 검사로 근무
대통령 비서실 민정수석실의 특별감찰반 반장 근무
부산 지방검찰청 동부지청 부 부장검사로 근무
청주 지방검찰청 충주지청 부장검사로 근무
서울 동부지방검찰청 형사 6부의 부장검사로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수사
주진우 법률사무소 변호사 개업
제 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인사검증 팀장역
대통령 비서실 법률비서관으로 합류 (현재 윤석열 정부)
주진우 공천 스토리
주진우는 1975년 5월 25일 경남 진주시에 한 곳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주대경'이라는 인물로, 주대경 역시 제 17회 사법시험에 합격한 인물이다. 또한 합격한 이후에 사법연수원을 제 7기로 수료한 검사출신 변호사라고 한다.
주진우는 부산광역시로 이주하여 광안중과 대연고를 졸업하였다. 그리고 1994년 해에 서울대 법과 공법학과에 진학한 뒤(94학번) 1999년도는 제 41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2000년도 곧바로 서울대를 졸업한 뒤 사법연수원을 31기로 수료하였고, 그 후 대구지방검찰청 검사로 임용되었다. 그 뒤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법무부 법무과 검사, 대검찰청 검사를 차례로 근무하여 2014년도 8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대통령 비서실 민정수석실의 특별감찰반의 반장으로 근무하였다.
그다음은 부산 지방검찰청 동부지청 부 부장검사로 근무, 청주 지방검찰청 충주지청 부장검사로 근무한 뒤 서울 동부지방검찰청 형사 6 부장검사에 몸담으며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을 수사한 약력이 있다.
하지만 2019년 8월에 대구 지방검찰청 안동지청장으로 발령이 났고, 그러자 검사직을 사직한 뒤 변호사 개업을 했다. 그 뒤에 윤석열 당선인의 법률지원팀으로 합류하게 된다.
2022년 5월 10일 날 윤석열 정부의 출범, 주진우는 초대 대통령비서실 법률 비서관으로 임명되어 근무하게 되었다.
그리고 2023년부터 차기 국회의원 선거 출마 가능성이 있다는 말들이 나오고 있었으며, 주진우가 출마할 지역구로는 주진우의 고양 진주시 또는 고교시절을 보냈던 부산의 남구와 그 옆 지역구인 수영구가 유력하게 꼽히고 있었다.
예상한 대로 2024년 1월에는 제 22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서 공직에서 물러났고, 출마하는 지역구는 역시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 갑이 유력해 보인다. 해운대구 갑은 하태경 의원의 수도권 출마로 인해 무주공산이 된 지역구이다.
그 후 2024년 1월 29일, 공식적인 해운대구의 갑 지역구에 출마를 선언하였으며, 동시에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출신으로 해운대구 출마의 얘기가 나오던 전 해양수산부 차관 박성훈은 부산진구 갑으로 출마지를 옮기게 되었다. 이로서 교통정리가 되어 용산 쪽의 대통령실 인사 간의 경선은 불발되어 버렸다.
그리고 2024년 2월 18일, 지금 현재는 해운대 갑에 단수공천되었다.
'방구석에서 키우는 경제상식 > 국내 경제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의는 알고있을까? "지금 의료파업은 의사에게 매우 위험하다?" (0) | 2024.02.23 |
---|---|
대한민국 MZ세대의 소비트랜드와 저축에 대한 인식"내 맘 가는대로 소비한다" (0) | 2024.02.20 |
1년에 담배로 걷는 세금이 3조? 한국의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권리 (0) | 2024.02.19 |
내 집 있는 사람 얼마나 될까? 대한민국 30, 40대의 주택 소유 비율 (0) | 2024.02.18 |
우리나라 남녀 연령별 혼인 비율, 나는 어디쯤 있을까? (0) | 2024.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