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구석에서 키우는 경제상식/국내 경제소식

금값 역대 최고 고공행진, 작년에 올해 오르리라 예상했다?

by 강또띠 2024. 3. 8.
반응형
금값 역대 최고 고공행진, 작년에 올해 오르리라 예상했다?

지금은 골드러시
"정확히 1년 전, 이맘때쯤 금값 오른다더니, 진짜 올랐네"

 

돈을 버는 것도 중요하지만, 번 돈을 어떻게 관리하느냐도 너무나 중요하다. 젊은 2030 세대도 요즘 경제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다. 물가는 계속 오르고, 화폐가치는 자꾸 떨어지는 장기 불황속에 자신이 어렵게 벌어놓은 시드머니를 똑똑하게 관리하기 위해 자연스레 관심을 갖는 것이다.

 

1년 전, 내년에는 금값이 오르리라 예상했던 것이 적중해서 금값이 고공행진을 달리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것을 보고 예측했던 것일까? 작년에 예측했던 자료를 토대로 금 투자에 대한 얘기를 이어가 보려 한다.

 

짧은 목차

1) 금값이 오르는 이유
2) 예측했던 금값 상승
3) 달러와 금의 관계
4) 금 투자, 지금이라도?

 

금값이 오르는 이유

지금 금값이 오르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세계에서 일어나는 전쟁 문제
  • 중국의 부동산 문제
  • 미국의 경제 침체 등의 상황
  • 이러한 이슈들로 흔들리는 세계경제
  • 현금의 가치 하락 (인플레이션)

등등의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현재 비트코인 가격 또한 역대 최고점을 계속 갱신 중인 것도 한몫한다. 현재 달러를 국제통화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런 통화의 기조가 바뀔 것이라는 전망에 달러가격이 떨어지면서 비트코인과 금값이 치솟고 있는 상황.

 

이런 상황에서 갑자기 나도 야수의 심장으로 변할 뻔했지만, 달러약세가 어느 정도 끝나면 금값도 안정화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젊을수록 이런 불장에는 같이 뛰어들기보단 관심을 갖는 방법으로 한 발짝 물러서는 것이 현명하다 생각해... 내 돈은 소중하니까^^)


 

예측했던 금값 상승

기본 지식
1. 달러가치는 금값과 반대로 움직인다.
2.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달러가치 하향세, 즉 금 값은 오른다.
3. 인플레이션 등으로 종이지폐에 대한 신뢰 하락=금값의 상승

SBS뉴스 금 매입 동향

 

전 세계의 중앙은행들은 금을 작년부터 사들이기 시작했다. 2021년보다 2022년에 사들이는 양이 152%나 증가했었다. 주목할 점은 금값은 2010년부터 꾸준히 올라왔는데, 갑자기 각국의 나라에서 사들이는 양이 껑충 뛰었다는 점.

 

그리고 미국과 유럽국가들의 보유고의 60% 이상이 금으로 채워져 있다는 소식 또한 들려왔다. 그러나 작년까지도 우리 한국은행은 자산보유고의 1.4% 정도만을 금으로 보유해 왔다.

SBS뉴스 각국 중앙은행 금거래 추이

금은 이자수익도 없고, 보관에 들어가는 비용도 있을 텐데 왜 이렇게 모았을까? 이유는 전 세계적인 문제인 인플레이션을 대비한 자산 저장 수단이다. 달러의 가치도 살짝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금값이 오를 거라는 예측들이 많이 쏟아져 나온 것이다.

 

 

 

달러와 금의 관계

우리가 아는 금 투자에 대한 강한 인식. "달러가 떨어지면 금을 사야 한다."

 

우리가 아는 금투자에 대한 1등 지식.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금을 사야 한다는 생각이다. 맞는 말이긴 하다. 금은 채굴량이 한정되어 있고, 주식이나 다른 투자상품에 비해 등락폭이 크지 않은 참 좋은 자원이다. 하지만 어떤 경제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금은 필수 투가대상은 아니다"라고 말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달러가치 변화에 따라서 한국 주식시장도 그 반대로 움직이는 관계에 있어서이다. 즉, 금값이 오르는 추세에는 한국의 주식도 오르는 흐름. 그렇다면 어떤 게 더 좋은 투자대상인지를 따져본다면? 금은 샀어도 이자나 배당금이 없지만, 주식은 배당금이 지급되는 등 현금 흐름에 이점이 있다.

달러가 약세일 때 한국주식이 '거의 두 배씩' 오르는 이유

글로벌 투자자들의 움직임이다. 투자자들의 빚을 낸 달러 자산은 그에 따른 이자를 낸다. 한국 주식은 이익성장성도 빠르고, 배당도 잘 주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보다 확실하게 금보다는 한국 주식을 사들이는 것.

 

금 투자, 지금이라도?

 

이렇게 금값이 많이 오르는 시기에 "어떻게, 나도 한 번 편승해 볼까?" 하는 심리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투자는 개인의 몫, 주식은 떨어졌을 때 사는 것처럼, 금 역시도 지금처럼 고공행진을 할 때 사는 것은 조금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오르면 좋겠지만, 젊을수록 우리는 잃지 않는 투자를 해야만 한다.

금 투자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 정도가 있다. 하지만 내가 추천하고 싶은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하는 KRX금거래소뿐이다. 실물로 사놓는다면 도난위험도 있지만 무엇보다 비싸다. 당연히 부가세를 주고 사게 되기 때문에 구매하자마자 20% 가까이 손해를 보게 되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절대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다. 선물 등의 목적이 아니라면 금은방이나 홈쇼핑에서 금은 절대 사지 말아야 한다. 앞서 말한 처럼 사자마자 손해가 오는 것이고, 판매하는 곳에게 마진을 5%까지 떼어주면... 남한데 도움 되는 일이다.

 

마지막으로, 나라면 금값이 안정될 때까지 경제 동향과 투자공부를 같이 하고, 안정된 시기에 '내 금융자산의 10%를 금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택하겠다. 최대한 안전하게, 손실을 고려하여 욕심 없이. 또, 가장 중요한 것. 지금처럼 금값이 오를 때 반대로 떨어지는 다른 시장에 시야를 넓혀보는 것은 어떨까?

 

앞으로의 연속성 있는, 성공적인 건강한 투자를 위해 나라면 이 같은 불장에는 조금 지켜보는 선택을 할 것 같다. 내가 만약 금에 관심이 간다면 꼭! '달러와 주식'의 동향도 함께 살피길 권하고 싶다.
반응형